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홀리고입니다.

 

최근 북한의 엘리트 계층에서 탈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외교관, 해외 파견 IT 기술자, 유학생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들이 북한을 떠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그들의 탈북 이유와 그로 인한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북한 엘리트 탈북

 

 

챕터 1: 엘리트 계층의 탈북 사례

북한의 엘리트 계층이라면 외교를 위해 타국에 파견된 외교관, 외화벌이를 위해 타국에 파견된 IT 기술자, 공부를 위해 해외로 나갔던 유학생 등이 포함됩니다. 최근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이들의 탈북 현상을 살펴보겠습니다.

 

  1. 쿠바 주재 북한 외교관: 김정은 표창을 받는 등 고위급으로 꼽히던 쿠바 주재 북한 외교관이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망명했습니다. 작년에 넘어온 사실이 최근 밝혀졌습니다.
  2. 프랑스 주재 북한 외교관: 프랑스에서 일하던 북한 외교관과 그 가족이 작년 말 미국으로 망명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3. 탈북민 수 증가: 통일부에 따르면, 작년(2023년) 탈북민 수는 196명에 달했습니다. 이는 코로나로 국경이 꽉 막혔던 2022년의 67명과 비교했을 때 3배 정도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외교관, 해외주재원, 유학생 등 엘리트 계층이 10명 가량 포함되었습니다.

 

챕터 2: 탈북의 이유

 

북한 엘리트들이 탈북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된 이유는 북한 지도부와의 갈등입니다. 돈을 벌 구석이 없는데도 외화벌이 할당량을 채워야 하고, 언제든지 숙청당할 수 있으며, 보상도 없기 때문에 불만이 생깁니다.

 

  1. 북한 복귀의 부담: 코로나19의 종식으로 국경이 열리고 본국 복귀가 본격화되면서 자유세계를 경험한 이들이 북한으로 돌아가는 데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2. 체제에 대한 불만: 과거에는 식량난을 이유로 탈북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이제는 북한 체제가 싫어서 탈북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습니다.
  3. 불평등한 평가: 최근 망명한 쿠바 주재 북한 외교관은 노력에 대한 불평등한 평가를 탈북 이유로 들었습니다. 열심히 일했음에도 뇌물을 주지 않았더니 괴롭힘이 이어졌고, 치료조차 받기 어려운 상황에 격분해 망명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챕터 3: 탈북의 영향과 대응

북한 엘리트들의 탈북이 이어지자 북한 조직에서는 한국 탓을 하는 허위 보고를 올려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보복의 성격을 띤 테러가 계획된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테러 경보 레벨이 2단계(관심 -> 경계)로 올라갔습니다.

 

 

마무리

 

북한 엘리트들의 탈북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을 넘어 북한 체제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중요한 현상입니다. 이들의 탈북이 계속 이어질 경우, 북한 내부의 변화와 국제 사회의 대응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