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홀리고입니다.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계실 텐데요. 올해 장마는 예년과는 다르게 많은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2024년 장마의 특징과 이에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장마의 변화

 

최근 몇 년간 장마의 양상이 크게 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장마는 6월 중순에 제주에서 시작해 중부 지방으로 올라오며 7월 말쯤 끝나는 패턴을 보였는데요. 하지만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1.1 짧고 강렬한 장마

2018년과 2021년에는 장마 기간이 매우 짧았으며, 15일 정도 비가 내리는 '마른 장마’로 기록되었습니다. 특히 2021년에는 7월 초에 장마가 시작되어 '지각 장마’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1.2 긴 장마와 폭우

반면, 2020년에는 54일 동안 비가 내려 '역대 최장 장마’로 기록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남부 지방에 폭우가 쏟아지며 역대 강수량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1.3 전국 동시 장마

전통적으로 장마는 제주에서 시작해 남부, 중부 순서로 진행되었지만, 2023년에는 전국이 거의 동시에 장마철에 들어섰습니다.

 

 

2. 2024년 장마 전망

올해 장마는 평균보다 기간은 짧지만 강수량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는 '국지성 호우’가 잦을 전망입니다. 이러한 비구름은 폭이 15km 정도로 좁아 강한 비를 뿌리며, 순식간에 시설물이 침수되거나 하천이 넘칠 수 있습니다.

 

 

3. 장마의 원인: 기후 변화

 

장마의 이러한 변화는 기후 변화로 인한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땅과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생기고, 이는 비구름의 재료가 되어 비가 더 강하게 내리게 됩니다. 북극의 기온 상승도 대기 상태에 영향을 미쳐 장마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4. 장마 대비 방법

장마철에는 수해뿐만 아니라 다음 세 가지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1 산사태

비가 많이 오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지성 호우가 자주 오면 '토석류 산사태’의 위험이 커집니다.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는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거주지 근처에 산이 있다면 틈틈이 확인해보세요.

4.2 폭염

장마철에는 수증기가 많은 환경에서 비가 오면 더 푹푹 찌고 더울 수 있습니다. 장마가 끝나면 전국적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3 채소·과일 가격 상승

장마철 호우로 인해 채소와 과일의 수확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2024년 장마는 예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장마의 패턴이 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여러분 모두 안전하고 건강하게 장마철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