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홀리고 입니다.
CJ의 K팝 아레나 설립이 무산되었습니다. 2015년 사업 시작 이후 많은 문제를 겪었는데요. 한편, 카카오는 서울아레나의 착공을 알렸습니다. K팝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로 기대를 모았던 CJ의 아레나 사업이 결국 무산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1. CJ 아레나 최종 무산 결정
CJ의 대규모 아레나 설립이 결국 무산되었습니다. 사업이 여러 차례 연기되며 논란이 많았는데요. 지난 1일, 경기도청은 기자회견을 통해 운영사인 CJ라이브시티와의 협약 해지를 발표했습니다. 대신 해당 부지에 공공주도의 공영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 아레나란 무엇인가?
아레나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무대가 위치한 대규모 공연장을 의미합니다. 주로 1만 석~2만 석 규모의 실내 원형 경기장을 아레나라고 하며, 그 미만의 규모는 홀이라고 지칭합니다. 국내에 있는 공연 목적의 아레나는 인천 중구의 ‘인스파이어 아레나’가 유일합니다.
3. CJ의 라이브시티 사업
CJ는 2015년부터 경기도의 ‘K-컬처밸리 조성 공모사업’에 참여하며 아레나 설립을 추진해 왔습니다. 자회사인 CJ라이브시티를 설립하고 경기도 고양시에 아레나를 포함한 CJ라이브시티 조성을 추진해 왔는데요. 실내 2만 명, 야외 4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사업이었습니다.
4. 사업 과정의 어려움
CJ라이브시티는 제도·행정상의 문제로 사업 초기부터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016년, CJ 그룹은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됐다는 혐의로 11개월간 행정 사무조사를 받았는데요. 이외에도 사업 부지의 환경 개선 조치, 사업계획 변경 및 승인 등 문제가 이어지며 사업은 계속 지연되었습니다. 최초 완공 기한은 2020년 12월이었지만 2021년 10월에야 아레나의 착공식이 진행될 정도였습니다.
5. 전력 공급 문제
2021년 착공 후 사업은 또다시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2023년 2월, 한국전력공사가 사업 부지에 전력 공급이 어렵다고 통보한 것입니다. 경기남부반도체 클러스터가 패스트트랙으로 추진되며 해당 부지에 우선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결국 CJ라이브시티는 2023년 10월 국토교통부 PF 조정위원회에 사업협약 조정을 신청했지만, 경기도는 조정 도중 일방적 협약 해지를 발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6. 서울아레나의 착공
지난 2일, 서울 도봉구에선 2만 8천 명 규모의 ‘서울아레나’의 착공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카카오가 대표 출자자로 사업에 참여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 없이 민간 주도로 이뤄질 예정입니다. 경기도와 고양시가 모두 관할하며 행정 절차상 문제가 많았던 CJ 아레나와 달리, 카카오의 서울아레나는 서울시가 단독으로 주관합니다. 예상 준공 시기는 2027년 3월입니다.
마무리
CJ라이브시티의 아레나 사업이 무산된 것은 많은 이들에게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카카오의 서울아레나가 새로운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K팝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며, 더 많은 공연장이 생겨나기를 기대해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계 체벌 논란: 3가지 쟁점과 우리의 선택 (0) | 2024.07.15 |
---|---|
장마의 변신: 2024년 장마철 생존 가이드 (0) | 2024.07.14 |
2024년 공인중개사법 개정 -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4가지 변화 (0) | 2024.07.14 |
갤럭시 언팩 2024 : 폴더블폰부터 스마트링까지, 5가지 신제품 리뷰 (0) | 2024.07.14 |
2024 삼성 파운드리 포럼: AI 솔루션 '턴키’와 2나노 계약의 비밀 (0)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