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홀리고입니다.
최근 카카오는 사법 리스크와 실적 부진으로 인해 큰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검찰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으면서 카카오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가 직면한 문제들과 그로 인한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카카오가 마주한 첩첩산중 사법 리스크
밤샘 조사를 받았다고?
지난 9일,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은 20시간 넘는 밤샘 검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그는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의혹에 관여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작년 11월 검찰에 송치된 지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소환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사법 리스크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SM 주가 시세조종 의혹이 뭐였지?
카카오는 SM 경영권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2,400억 원을 투입해 주가를 띄웠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작년 2월, 하이브는 SM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해 SM의 주식을 주당 12만 원에 사들이는 공개매수를 진행했으나, 공개매수 기간 동안 SM의 주가는 12만 원을 넘겼습니다. 이에 투자자들이 하이브에 주식을 팔 유인이 없어지면서 하이브가 실제로 사들인 지분은 0.98%에 그쳤습니다. 카카오는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SM 주가를 주당 12만 원보다 끌어 올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에 향하는 화살
검찰은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개입 여부를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김 위원장은 주가 조작을 지시하거나 승인했는지에 대해 집중 조사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법 리스크는 계속된다
카카오의 사법 리스크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현재 검찰이 카카오를 대상으로 조사 중인 사건은 3개 더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 제작사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인수대금을 부풀려 사익을 추구했다는 혐의를, 김범수 위원장과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크레이튼 관계사 임원들은 가상자산 횡령·배임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콜 몰아주기’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2: 실적 부진까지 엎친 데 덮친 격
실적 전망 흐림 상태
올해 2분기 카카오 매출은 2조 643억 원, 영업이익은 1,41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 25% 증가한 수준이지만, 증권가는 카카오의 자회사 실적 부진 여파로 전망치가 더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사법 리스크 악재에 이어 위기가 계속될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카카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현재 카카오는 눈에 띄는 성장 동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주력 사업인 카카오톡 등 플랫폼 사업은 글로벌 플랫폼에 밀리는 추세고, 게임·음악 등 콘텐츠 사업들의 성과도 예상보다 부진한 상황입니다. 인건비 상승을 비롯해 경쟁사 마케팅에 대응하기 위해 증가하는 비용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유튜브에 밀리기도
실제로 카카오는 구글의 유튜브에 모바일 앱 시장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유튜브는 작년 12월 카카오톡을 제치고 국내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위 자리를 차지했으며, 지난달에도 유튜브의 MAU는 4,625만 명, 카카오톡은 4,543만 명으로 뒤쳐진 상태입니다.
챕터 3: 뒤숭숭한 카카오의 미래는
주가 뚝 떨어질 조심
이번 김범수 위원장의 소환조사 이후 카카오 주가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나, 증권가는 여전히 경계의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카카오 주가는 23.6% 떨어졌고, 시가총액은 약 13조 원이 줄었습니다. 이에 시가총액 순위는 작년 말 기준 14위에서 최근 20위로 하락했습니다. 증권사 역시 카카오 목표주가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습니다.
사법 리스크가 가져올 여파
만약 SM 주가 시세조종 사건에서 김범수 위원장이 벌금형 이상의 처벌을 받게 된다면, 카카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카카오가 핵심 계열사인 카카오뱅크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하기 때문입니다. 법인의 대표자가 위법행위를 했을 경우 이에 관한 형사처벌은 법인에도 적용됩니다. 따라서 카카오뱅크의 대주주인 카카오는 은행법에 따라 대주주 자격이 박탈돼 카카오뱅크를 매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AI 힘 발휘할까
카카오의 주가 반등을 위해선 AI 중심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AI 대중화를 이루려 하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카카오톡에 AI가 접목된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방침이지만, 아직 세부 계획은 없는 상태입니다. 이미 경쟁사와 비교해 AI 사업 확장이 한발 늦었다는 분위기에서 더욱 구체화한 로드맵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들립니다.
마무리
카카오는 현재 사법 리스크와 실적 부진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의 검찰 소환 조사는 카카오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실적 부진 역시 카카오의 성장 가능성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카카오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그리고 AI를 통한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언팩 2024 : 폴더블폰부터 스마트링까지, 5가지 신제품 리뷰 (0) | 2024.07.14 |
---|---|
2024 삼성 파운드리 포럼: AI 솔루션 '턴키’와 2나노 계약의 비밀 (0) | 2024.07.13 |
인구 감소와 이주민: 우리의 미래를 위한 변화 (0) | 2024.07.13 |
배민의 중개 수수료 9.8% 인상, 그 배경과 파장 (0) | 2024.07.13 |
2024년 직장 내 괴롭힘 대응: 5단계 해결 전략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