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홀리고입니다!
2024년 7월, 한국의 주요 시중은행에서 가계대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단 나흘 만에 2조 2천억 원이 증가한 이 현상은 부동산과 주식 투자 열풍이 다시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이러한 가계대출 증가의 배경과 그 영향을 살펴본다.
1. 가계대출의 급증
7월 초,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10조 7천558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6월 말과 비교해 4영업일 만에 2조 1천835억 원이 증가한 수치다. 특히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2. 부동산 시장의 회복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수요가 몰리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2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며, 주택 매수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5대은행 가계대출 나흘새 2.2조↑…부동산 영끌에 주식 빚투까지
신용대출 1.1조↑·신용융자도 증가세…"공모주·美주식 투자로 마통 늘어" 시장금리는 계속 하락…주담대 최저 금리 2.90%까지 떨어져 "부동산 규제·정책대출 요건 완화하면서 은행더러 대출은
n.news.naver.com
3. 주식 투자 열풍
국내외 주식 시장의 활황도 가계대출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스피와 미국 증시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신용융자와 마이너스 통장을 통한 주식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공모주 청약에 많은 자금이 몰리면서 신용대출이 급증했다.
4. 금리 하락과 대출 증가
시장금리가 계속 하락하면서 대출 금리도 낮아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저 2.90%까지 떨어졌고, 신용대출 금리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출 문턱을 낮추어 가계대출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마무리
한국의 가계대출 급증은 부동산과 주식 시장의 활황, 금리 하락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금융 시장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산업의 비밀: 5가지 필수 개념 (0) | 2024.07.21 |
---|---|
서울 부동산 시장의 변화: 공사비 증액과 그 영향 3가지 (0) | 2024.07.21 |
서울역 북부의 대변신: 34만㎡ 복합단지의 탄생 (0) | 2024.07.21 |
10년 후를 대비하는 가로식 저축의 비밀 3가지 (0) | 2024.07.21 |
나이키의 암흑기: 19.98% 주가 급락과 미래의 불확실성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