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홀리고 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시는 중요한 정보, 바로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분들도 출산과 관련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꼭 알아두셔야 할 것입니다.
1.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란 무엇인가요?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는 소득활동을 하고 있으나, 고용보험의 '출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을 수 없는 출산 여성분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모성을 보호하고 생계를 지원하기 위해 최대 150만 원의 급여를 지급합니다. 유산이나 사산의 경우에도 포함되며, 급여 수준과 지급 횟수는 임신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급 요건:
- 출산 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이 발생해야 합니다.
- 출산일 현재도 소득활동이 진행 중이어야 합니다.
지급 수준:
- 총 150만 원 (월 50만 원 X 3개월 분)
유산·사산 시 지급액:
- 임신기간 15주까지: 30만 원
- 16~21주: 50만 원
- 22주~27주: 100만 원
- 28주 이상: 150만 원
2. 누가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근로자:
- 유형 1: 고용보험에 가입은 했으나,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분들
- 유형 2: 고용보험법상 적용 제외 대상인 분들 (예: 월 60시간 미만 근로자)
- 유형 3: 고용보험 미성립 사업장 소속의 미가입 근로자
1인 사업자:
- 출산일 현재 피고용인이 없는 단독 및 공동 사업자
- 보조 인력을 채용한 경우에도 지원 가능
그 밖의 소득활동 여성:
-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특수형태 근로자 및 프리랜서 등
3.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전자신청: 고용24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모바일에서도 접수가 가능하니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서류신청: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일하는 엄마라면 맘 편하게 더!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받아가세요! [고용노동부] (youtube.com)
이렇게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가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6일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 방법 - 근로자의 권리 보호 (0) | 2024.07.03 |
---|---|
외국인 및 재외국민 건강보험 가입요건 안내 - 새롭게 바뀐 점은? (0) | 2024.07.02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안내 - 일과 육아 사이에서 (0) | 2024.06.30 |
보상휴가제 :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 (0) | 2024.06.29 |
가족돌봄휴가제도란 무엇인가요? (0) | 2024.06.25 |